개발학습 (15) 썸네일형 리스트형 DB에서 인덱스를 사용하는 이유 인덱스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정보를 빠르게 찾기 위해 만드는 "색인"이라고 생각하면된다. 데이터마다 색인을 넣어서 원하는 데이터를 더 빠르게 찾을 수 있게 도와준다. 하지만 단점은 인덱스를 넣은만큼 데이터베이스의 저장 공간을 차지하고, 데이터를 추가, 수정, 삭제할 때 인덱스를 업데이트해야 하므로 이에 따른 오버헤드가 발생한다. 또한, 너무 많은 인덱스를 생성하면 쿼리 성능이 저하될 수 있으며, 적절한 인덱스 디자인이 필요할수 있다고 한다. 인덱스는 데이터마다 고유성을 부과해주고 조인성능을 향상시킨다. 조인이란? - 데이터베이스에서 두 개 이상의 테이블에서 데이터를 결합하는 작업 - 여러 테이블에 있는 정보를 조합하여 하나의 결과를 얻기 위해 사용 스프링 MVC 프로젝트 ?? Mybatis를 적용한 웹 프로젝트 동작 구조 ?? 아키텍처란?? - 소프트웨어가 어떻게 동작하고 구성되는지의 계획이 적힌 도면이나 설계도 같은 것이라고 한다. 스프링 MVC프로젝트?? - 스프링 MVC는 Model-View-Controller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하는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지원함. 스프링 MVC의 구조?? - Controller: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고, 비즈니스 로직을 호출하거나 데이터를 가공합니다. - Service: 비즈니스 로직을 수행하고, 데이터 처리를 담당합니다. - DAO (Data Access Object): 데이터베이스와의 상호 작용을 담당하는 객체입니다. 실제로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여 데 이터를 CRUD(Create, Read, Update, Delete) 합니다. - View: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화면을 생성합.. 자바(JAVA)란??? 자바란?? -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 중 하나인데,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만들때 사용된다. (컴퓨터 소프트웨어란?? - 컴퓨터 소프트웨어란 컴퓨터가 동작하고 일을 처리하는 데 도움을 주는 프로그램이에요. 우리가 사용하는 모바일 앱, 웹사이트, 게임, 워드 프로세서 등 모든 프로그램들은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한 종류이다.) (프로그래밍 언어란??- 프로그래밍 언어는 사람과 컴퓨터 사이에 의사 소통을 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일종의 "언어"이다. 프로그래밍 언어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데 사용되며, 이를 통해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자바와 c언어의 차이가 뭐야? - C 언어는 저수준 메모리 제어와 하드웨어 접근에 적합하며, 시스템 프로그래밍에 유용하고 성능이 우수하며, 메모리 관리와.. 개발툴은 어떠어떠한것들이 있을까?? 6개월전 코딩학원을 다닐 초창기때는 JAVA란 단어도 처음들었었다. JAVA나 기타 언어들을 사용하기 위한 개발툴들이 많던데 어떤 것들이 있는지 정리를 하고싶었다. IDE(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란?? - "통합 개발 환경"으로, 코드 작성, 디버깅, 빌드, 테스트 등 개발 작업을 한 곳에서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도구 스프링프레임워크, IDE, STS?? - STS는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도와주는 개발 도구(IDE)이다. 그럼 스프링프레임워크란?? - 스프링 프레임워크는 스프링의 핵심 프레임워크이며, 스프링 부트는 스프링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을 보다 쉽고 빠르게 개발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특화된 도구이다. 프레임워크란?? -.. 클라우드서버란??? 서버가 데이터베이스인가?? - 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컴퓨터나 기기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 데이터베이스는 구조화된 데이터를 저장, 관리, 검색하고 처리하는데 사용되는 시스템이라고 한다. 서버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데이터베이스는 구조화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일반적으로 서버에서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여 정보를 효율적으로 다룰 수 있다. 일반적인 서버랑 클라우드서버는 뭐가 다른거야?? - 일반적인 서버는 직접 서버를 소유하고 관리하는 것이라면, 클라우드 서버는 외부에서 필요한 만큼의 서버 공간을 빌리는 것이라고 함. 클라우드서버의 특징 - 필요한 만큼의 가상 공간을 빌려서 사용할 수 있다. - 공간을 빌리는것에서 더 나아가서 프로그램을 만들고 실행하는 데 필요한 도구들도 함께 빌릴 수 있다.. HTTP가 뭘까??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는 웹에서 클라이언트(웹 브라우저)랑 서버가 데이터를 주고받기위한 프로토콜(규칙, 언어)이며, 주소창에 url을 입력하는 방식으로 이용된다. 웹 브라우저 동작 - 사용자가 주소창에 URL을 입력하면, 브라우저는 해당 URL로 HTTP 요청을 보내고, 서버는 그에 대한 응답을 전송하여 브라우저에 웹페이지를 표시. 서버 - 정보를 제공하고 응답하는 주체로, 웹 서버 소프트웨어가 동작하는 컴퓨터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 웹에서 특정 자원(리소스)의 위치를 나타내는 주소 요청(Request): 클라이언트(보통은 웹 브라우저)가 서버에게 HTTP 요청 예를 들어, "www.example.com"에 접속하면 브라우저가 .. 프로젝트가 끝났다 개발학습일기 시작 학원에서 프로젝트가 끝난지 며칠되었다 프로젝트를 진행중일땐 매일 작은 성과라도 만들어내려고 시간을 알차게 보냈는데 막상 끝나니까 미지근해지고 하는게 없어서 오늘부터 꾸준히 블로그를 작성해보려고 한다. 작은거라도 그때그때 학습한 것들을 기록할거다. 첫 글은 이번 프로젝트에서 내가 한 전반적인 내용들을 쓰고 다음 글 부터는 면접 준비하면서 공부한 것들 위주로 하나씩 쓰려고 한다. 0. 프로젝트시작 1. 주제정하기 처음 해보는 팀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가장 기본적인 기능을 구현해볼수 있는 (스포츠)쇼핑몰로 결정했다. 2. 형상관리툴 형상관리툴이란? 개발한 것을 시간별로 기록해 주는것으로, 변경사항을 체계적으로 관리, 제어하기 위해 쓰이고 다수 개발자가 한 프로젝트에서 팀을 이루어서 활동할때 협업을 도와준다. 우..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