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27)
오라클 쿼리 코테정리 기본기(정렬, 서브쿼리) 오라클 정렬에 대해. 먼저 정렬해놓고 거기서 내부적으로 또 정렬하기. -- 동물 보호소 테이블(ANIMAL_INS)에서 동물 ID, 이름, 날짜시간을 선택합니다. SELECT ANIMAL_ID, NAME, DATETIME FROM ANIMAL_INS -- 이름이 같은 동물들에 대해 날짜시간(DATETIME)을 기준으로 내림차순 정렬합니다. ORDER BY NAME ASC, DATETIME DESC; %를 이용해서 관련 키워드로 검색하기 SELECT FACTORY_ID, FACTORY_NAME, ADDRESS FROM FOOD_FACTORY WHERE ADDRESS LIKE '%강원도%' ORDER BY FACTORY_ID ASC; USERS라는 별칭으로 총 갯수 반환가기 SELECT COUNT(*) AS..
sts에서 레거시프로젝트에서 mvc프로젝트 설정안됨해결 24년 2월이후부터 sts설치시 새프로젝트에 mvc프로젝트 설정이 안되었다. 프로젝트폴더에서 경로 \.metadata\.plugins\org.springsource.ide.eclipse.commons.content.core에서 https-content.xml파일이 있어야하는데 없다. 파일을 따로 넣어줘야한다. +추가로 \.metadata\.sts\content\org.springframework.templates.mvc-3.2.2 에도 template.xml wizard 를 넣어줘야 생성에러가 안뜬다.
스프링 자바주석깨짐 해결 UTF-8로도 자바쪽 파일이 주석이 깨져있었다. Window - Preference - General - Content Type - Text - Java Source File  - Default encoding을 EUC-KR 로 변경 후에 Update   반대는 UTF-8로 변경하면된다.
이클립스 실행오류 이클립스를 더블클릭해도 실행이 안되었다. 최신버젼으로 설치를 했는데 삭제하고 22년 09년도 버젼으로 실행하니까 잘 실행되었음.. jdk 11.0.2사용중
오버로딩? 오버라이딩? 오버로딩(Overloading)과 오버라이딩(Overriding)은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서 중요한 개념이다. 둘다 다형성을 구현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다형성이란? - 동일한 이름의 메서드나 함수가 다른 동작을 할 수 있는 성질 오버로딩 - 같은 이름의 메서드이지만 매개변수의 타입과 갯수가 다르게 정의되는 것을 뜻함. 오버라이딩 - 상위 클래스에서 정의된 메서드를 하위 클래스에서 재정의하는 것.
스프링프레임워크의 특징? IOC, DI, AOP??? 스프링프레임워크란?? - 자바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한 경량화된 프레임워크로, 다양한 기능과 특징을 제공한다. 그 중에서도 IOC (Inversion of Control), DI (Dependency Injection), AOP (Aspect-Oriented Programming)은 스프링의 핵심적인 특징이라고 함. IOC?? -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 중요한 디자인 원칙 중 하나로, 개발자가 객체 간의 의존성을 직접 관리하는 대신, 프레임워크나 컨테이너가 이를 대신하고 객체의 제어 흐름을 관리하는 디자인 패턴이다.- 코드의 결합도를 낮추고 유지보수성을 높일 수 있으며, 특히 대규모 애플리케이션 개발 시 객체 간의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DI?? - DI (Dependency Inj..
인터페이스란?? 인터페이스란? - 모든 메서드가 구현부가 없는 추상메서드로 이루어진 클래스로, abstract 키워드를 붙이지 않아도 자동으로 모든 메서드는 추상메서드로 정의가 된다. 또한 변수도 자동으로 final static 키워드가 붙게 된다. 사용하는 이유는? - 코드의 유연성을 높이고 다형성을 구현하여 클래스 간의 결합도를 낮추기 위함이다. 결합도를 낮추면 시스템 유지보수확장이 더 수월해진다. 인터페이스 선언 - 인터페이스를 선언할 때에는 접근 제어자와 함께 interface 키워드를 사용하면 된다. 인터페이스 구현 - class 클래스이름 implements 인터페이스이름
예외 처리란?? 예외 처리란 프로그래밍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예상치 못한 상황 또는 오류에 대처하는 메커니즘이다. 왜 쓰는 걸까? - 내가 정해놓은 경우의 수 외의 예외 혹은 오류가 발생했을 때 프로그램이 그에 대응하는 방법을 결정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는 try-catch 블록을 사용하여 예외 처리를 구현한다. - try 블록 내에서 예외가 발생할 수 있는 코드를 작성하고, catch 블록에서 예외를 처리 예외처리를 사용하기위해서는 try-catch, finally, throw, throws 등등 이 있다.